티스토리 뷰

적당한 사이즈라면 종량제 봉투에 담아서 버리거나 종류에 맞게 분리 배출을 하면 되는데, 냉장고나 가구 등의 사이즈가 큰 종류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죠? 그래서 대형폐기물 스티커 인터넷발급 전국 가격 정보를 찾는 분들이 꾸준합니다.

 

보통은 주민센터(동사무소)를 통해서 발급하면 되지만, 온라인으로도 신청하고 출력할 수 있어요. 온라인 신청이 가능한 사이트와 방법에 대한 세세한 정보는 아래 엮었으니, 버려야 할 것이 있을 때 엮어둔 정보를 확인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대형폐기물 스티커 인터넷발급할 때 일반 품목

제목에는 전국이라는 단어를 적어두었지만, 사실 전 지역을 관리하고 있는 통합 사이트는 없습니다. 기왕이면 전 지역을 관리하고 있는 통합 사이트가 있으면 좋을 텐데, 아쉽지만 지금은 지자체 홈페이지를 찾아가야 해요. 워낙 다양한 지자체 홈페이지가 있어서 하나씩 설명하는 것은 어렵지만, 어차피 대형폐기물의 스티커를 인터넷발급하는 것은 전국이 비슷하니, 한 곳의 방식만 알아도 크게 어렵지 않으실 거예요.

 

그래서 저는 대구 수성구를 기준으로 얘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수성구청 홈페이지를 찾아가는 것인데, 모든 지자체 홈페이지는 포털에서 검색하면 바로 방문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수성구에 계신 분들이라면 [suseong.kr]를 주소창에 입력해서 방문하실 수도 있어요.

시기가 시기라서 지자체 사이트를 찾아가면 바로 메인 화면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상황을 알려주는 내용부터 나올 거예요. 우리는 메인 사이트가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적당히 버튼을 눌러서 이동하면 됩니다.

 

 

메인 사이트로 이동한 뒤에는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상단 카테고리 메뉴 등을 둘러보면서 대형폐기물과 관련된 메뉴를 찾고 클릭하면 됩니다. 그리고 모든 지자체 사이트에는 검색 도구가 준비되어 있으니, 검색 도구를 활용해서 메뉴를 찾아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페이지에 있는 메뉴를 누르면 종류에 따른 수수료와 배출하는 방법, 신청 과정까지 모두 안내받을 수 있어요. 안내에 따라 신청하면 되는데, 과정 자체는 빈칸을 몇 개 채워주는 것이 전부라서 크게 어려운 부분이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지역에 따라 대형폐기물 스티커 인터넷발급을 해야 하는 곳도 있고, 그냥 신청만 하면 되는 곳도 있는데, 이 부분도 안내 정보를 확인하시고 상황에 맞게 과정을 진행하시면 될 것 같아요.

혹시 과정을 진행하면서 어려운 부분이 생기거나 어떤 오류가 생긴다면, 사이트에 정리된 이용 정보를 확인하는 것보다는 그냥 직접 저나를 걸어서 물어보는 편이 빠릅니다. 사이트의 구성에 따라 숫자가 있는 곳의 위치는 제각각일 수 있지만, 보통은 페이지 하단을 보면 숫자를 확인하실 수 있을 거예요.

 

폐가전을 버리는 방법

가구는 위에 적어둔 방법으로 버리면 되는데, 가전을 버릴 땐 대형폐기물을 배출하는 방법이 조금 다릅니다. 물론 위의 방법으로 버리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다른 방법을 알면 굳이 수수료를 낼 필요가 없어요. 가전제품은 그냥 신청만 하면 배출할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가전제품은 가구와 다르게 통합 페이지가 있어요. 주소창에 [15990903.or.kr]를 입력하거나 포털에서 폐가전 배출 예약 시스템을 검색하면 사이트를 찾으실 수 있을 거예요.

주소를 입력하거나 검색해서 사이트를 찾아가면, 예약을 하는 버튼이 바로 보일 거예요. 그 버튼을 눌러서 상세 페이지로 이동하시면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신청 과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메뉴를 누르고 상세 페이지로 이동해보면 총 네 단계가 준비되어 있는데, 먼저 찾아간 곳과 마찬가지로 그냥 빈칸을 채우면서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전부입니다. 흡사 어떤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는 것과 비슷해요. 그래서 과정을 진행하는 방법 자체에 대해서는 제가 따로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 없을 것 같습니다.

물론 폐가전과 관련된 사이트도 막히는 부분이 있거나 오류가 생긴다면 직접 물어보면 됩니다. 아니면 신청 자체를 그냥 직접 하는 것도 가능해요. 홈페이지의 예약 버튼 아래쪽을 보면 숫자를 확인할 수 있으니, 필요하실 때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자체 사이트가 됐든, 폐가선 수거를 위한 통합 사이트가 됐든, 예약을 한 뒤에는 예약한 내용을 확인하거나 개인 스케줄에 따라 변경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 역시 메뉴를 누르고 안내에 따라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전부이니, 어려운 부분은 없을 거예요. 그냥 필요하실 때 바로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금가지는 컴퓨터로 사이트를 찾아가는 방식을 위주로 얘기했는데, 플레이스토어 등의 마켓을 열고 검색해보면 관련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도 찾을 수 있습니다.

저도 어플을 사용해본 적은 없어서 앱으로 대형폐기물 스티커 인터넷발급 전국 신청을 하는 방법을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 컴퓨터로 지자체 사이트를 찾아가는 것과 달리 앱으로 신청하는 것은 통합 버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어쩌면 스마트기기를 활용해서 어플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것이 더 간편할 것 같아요.

직접 시도해본 적은 없지만, 어플도 대충 둘러보니 사이트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위치와 배출할 물건의 종류, 시간 등을 지정하면서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전부이니, 사용하는데 특별히 어렵거나 불편한 부분은 없을 것 같아요. 아마 이사를 준비하시는 분들께서 많이 이용하시는 서비스가 아닐까 하는데, 아무쪼록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잘 처리하는데 조금은 도움이 될 수 있었길 바라며 저는 여기서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

 

동사무소 근무시간

 

동사무소 근무시간

요즘에는 많은 일들을 인터넷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어쩔 수 없이 동사무소 근무시간을 확인하고 센터를 직접 찾아가야 할 일들이 있기도 하죠? 인터넷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도 복잡할 땐

info.feel.pe.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