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요즘 여기저기서 종부세 과세대상과 계산법에 대한 얘기들이 나오고 있죠? 그래서 자세한 관련 정보를 찾아보시는 분들도 부쩍 늘었습니다.

 

세금과 부동산이 합쳐지면 정말 머리가 아픈 경우가 많은데, 그렇다고 해서 종합 부동산세가 이해를 할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것은 아닐 것입니다. 문제는 어디에서 시작을 하냐는 것인데, 보탬이 되고자 참고하실 수 있는 정보들을 아래쪽에 엮었으니, 혹시 부동산세를 알아보고 있으셨다면, 이번에 엮은 정보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종부세 과세 기본 개념

우선은 종부세의 정확한 개념부터 짚고 넘어가는 것이 순서겠죠? 종합 부동산 세금의 줄임말로 과세 기준일(그 해의 6월 1일)에 과세 대상이 되는 주택과 토지를 합산하고, 공시가격의 합계액이 공제되는 비중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분에 대해 과세되는 세금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집이나 토지는 6월 2일 이후에 장만하는 것이 절세의 팁이라 하죠.

 

그나저나 이렇게 얘기를 하니 말이 너무 어려운 것 같습니다. 조금 더 쉽게 풀어서 얘기를 하자면, 일정 수준의 집과 토지를 갖고 있을 땐 공제가 되는데, 일정 수준 이상의 집과 토지가 있으면, 그 수준을 초과하는 부분이 종부세의 과세대상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로~ 종부세 과세대상을 알아본다는 것은 어느 수준까지 공제가 되는지를 알아본다는 것과 같은 의미라 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준에 대해서는 아래쪽에서 계속 정보를 엮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빠르게 종부세 과세대상 살펴보기

종부세 과세가 되는 대상 빠르게 살펴보기

지금부터는 공제 금액을 얘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주택부속 토지를 포함한 주택은 6억원까지 공제가 됩니다. 단, 1세대 1주택자는 9억원까지 공제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나대지, 잡종지 등의 종합합산토지는 5억원까지 공제가 가능하며, 상가나 사무실 부속토지 등의 별도합산 토지는 80억원까지 공제가 됩니다. 그래서 이 기준을 초과하면, 초과하는 부분이 종부세 과세대상이 됩니다.

 

1세대 1주택자라는 단어가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 세대원 중에서 1명만 재산세 과세 대상인 1주택을 단독으로 소유하고 있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부부가 공동으로 명의를 갖고 있다면 9억원이 아닌 6억원의 초과분에 대한 종부세 과세대상이 됩니다.

 

종부세 과세가 되는 대상에서 체크할 부분

참고로 일정한 요청을 갖추고 있는 임대주택이나 미분양된 상태의 주택, 건설사업자의 주택, 신축용 토지는 종부세에서 제외되는 경우도 있으니, 꼭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종부세 과세 계산 방법

종부세 계산하는 곳

세금이라는 것이 워낙 복잡한 방식으로 계산이 되기 때문에 종부세를 직접 계산해본다는 것은 쉽지가 않아요. 그나마 다행인 것은 요즘에는 다양한 계산기를 제공해주는 페이지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 중에서 종부세 과세 수준을 확인해보는 곳도 있습니다. 포털에서 검색하면 여러 종류를 찾을 수 있어요.

 

혹시 너무 많은 종류의 계산기가 있어서 선택하는 것이 어렵다면, 주소창에 [부동산계산기.com]을 주소창에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종부세 계산기 사용법

주소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여러 개의 버튼이 정리된 페이지가 띄워질 거예요. 이 중에서 종부세 과세대상과 관련된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클릭해야 할 메뉴의 정확한 위치는 아래쪽 그림에서 커서가 있는 곳을 살펴보시면 될 것 같아요.

 

메뉴를 누르고 상세 페이지로 이동했다면, 상단에 '21년 종부세'라 적힌 버튼을 눌러주세요.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하단 그림의 커서 위치를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혹시 21년도 기준이 아닌 20년도 기준의 종합부동산세를 체크해보고 싶으시다면, 같은 메뉴를 누르고 기준연도만 수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이제 화면에 보이는 선택 항목이나 빈칸에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그리고 보유세 계산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자산이라 적힌 버튼을 눌러서 항목을 추가할 수 있으며, 공시가격은 국토교통부 공기가격 보기 버튼을 눌러서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계산기가 있는 곳 아래쪽을 살펴보면 재산세 과세 기준표가 정리되어 있고, 종합부동산세 과세 흐름과 기준표도 친절하게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계산기를 사용하면서 표 안에 정리된 내용을 함께 체크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혹시 계산기를 사용해도 결과를 살펴보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시다면, 다른 종류의 계산기를 사용해볼 수도 있습니다. 예컨대 [ezb.co.kr/calculator/taxes/real-estate]를 주소창에 입력했을 때 나오는 계산기를 써볼 수도 있어요.

 

기본적인 사용 방법은 먼저 사용한 계산기처럼 화면에 나오는 빈칸을 채우는 것이 전부이니, 사용 방법은 제가 따로 얘기할 수 있는 부분이 없을 것 같아요.

 

종부세 과세대상 납부 기간

세금 관련 궁금증 해결하기

워낙 전문적인 내용들이 많은 분야이다 보니, 짧은 글로 종부세 과세대상을 풀어내고 세세하게 얘기한다는 것은 아무래도 어려운 점이 많아요. 게다가 제가 필력이 좋은 사람도 아닙니다. 그래서 사실 이 글을 읽어보셔도 궁금한 부분을 충분히 해소하지는 못하실 듯해요.

 

다른 관련 정보를 살펴봐도 깔끔하게 긁어주는 내용을 보기는 쉽지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세금 쪽 궁금증은 전문적인 곳에서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예컨대 국세청에 물어보면 대부분의 궁금증은 해결하실 수 있을 거예요. 국세청은 주소창에 [hometax.go.kr]를 입력하면 찾아갈 수 있습니다.

납부하는 기간과 방법

국세청이나 세무소를 통해서 종부세 과세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셨고, 대상이기 때문에 납부를 해야 한다면, 납세통지서가 날아올 것입니다. 12월 1일~12월 15일 까지 납부하시면 되며, 상황과 금액에 맞춰서 분납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